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JavaScript Day4(20210530) 변수, 주석, 줄바꿈과 여백, 비교, 조건문

by rami_ 2021. 5. 30.

생활코딩(언어-자바스크립트)

1. 실행방법과 실습환경

2. 숫자와 문자

3. 변수

4. 주석

5. 줄바꿈과 여백

6. 비교

7. 조건문

8. 반복문

9. 함수

10. 배열

11. 객체

 

PoiemaWeb

자바스크립트5 자바스크립트의 기본문법

자바스크립트7 연산자

자바스크립트8 제어문

자바스크립트10 객체

 1. 객체란?

 2. 객체생성방법(객체 리터럴)

 3. 객체 프로퍼티 접근

자바스크립트 12 함수

 1. 함수정의(함수선언문/표현식)

 4. 매개변수(매개변수vs인수)

 5. 반환값

자바스크립트 27 string 래퍼 객체(1.string constructor 부분 제외)

자바스크립트 28 배열

 


1. variable 변수 var(생략가능)

2. 변수에는 문자와 숫자 모두 담을수 있음.

3. 처음 변수를 선언할 때는 var를 작성해야하지만 그 뒤에는 작성할 필요가 없음.

4. 변수는 코드의 재활용성을 높여줌.

 

alert(100+10);

alert((100+10)/10);

alert(((100+10)/10)-10);

alert((((100+10)/10)-10)*10);

 

이런 코드를 바꾸면

 

a = 100; - 변할 수 있음.

a = a+10;

alert(a);   //110

a = a/10

alert(a); //11

a = a-10

alert(a); //1

a = a*10

aelrt(a); //10-변하지 않음.

로 바꿀 수 있으며 만약 수정해야 될 경우 a만 수정하면 됨.

 

5. 유지보수하기에 간편함.

 

 


주석

1. 코드가 잘못됐다는 것을 개발자도구(F12)를 통해 알 수 있음. 옆에 보면 demo.html : 9 라고 나오는데 demo.html파일에 9번째줄 코드가 잘못됐음을 의미.

2. // 를 쓰면 자바스크립트가 무시(해석되지않음)하며 주석을 표현함. 줄바꿈하기 전까지 주석이 실현됨.

 /*

 

*/ (여러줄을 사용하는 주석)

 

3. 좋은 코드는 좋은 주석을 갖고 있음. 적합한 형태의 설명이 있어야 함.

4. 일시적으로 그 코드를 실행시키지 않기 위해서도 주석을 사용함.

 

 


줄바꿈과 여백

1. ; <-명령이 끝났다라는것을 명시적으로 사용. 

2. 줄바꿈을 해도 명령이 실행되기는 한다. 왜냐면 자바스크립트는 줄이 바뀌면 그 명령이 끝났다고 해석하기 때문.

3. 한줄에 명령을 모두 넣으려고 한다면 그때는 꼭 ; 을 사용해야함.

4. tab키를 눌러 정렬해줌. 여러줄을 하고 싶으면 드래그 해서 tab키 누르기.

5. a=' '; a = ' '; , = 붙여써도 띄어써도 상관없음.

 


비교

1. a = 1, a는 변수, b는 값 =는 연산자, 값을 변수에 대입해라. 

2. 비교 연산자

블린 boolean

3. == 동등연산자 equal operator 서로 값이 같다면 true 다르다면 false

alert(1==2) //false

alert(1==1) //true

alert("one"=="two") //false

 *문자를 쓸 때는 ""를 사용한다.

4. a=1 과 a==1은 다름. a=1은 1을 a에 대입, a==1은 a가 1이 맞는지 틀린지 확인. a==1을 true, false로 나타냄.

5. === strict(엄격한) equal operator(*주로 이걸 사용해야함)

6. alert(1 == "1") //true(좌항과 우항의 데이터 형식이 다르다고 할 지라도 정보의 의미가 같으면 true라고 함)

   alert(1 === "1") //false(숫자 1과 문자 "1"은 다르기 때문, (좌항과 우항의 정보가 일치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형식도 일치할 때 true라고 함).

7. null 값이 없음(프로그래머가 의도적으로 값이 없다고 지정함)

   undefined 값이 정해지지 않음(프로그래머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

8. boolean은 true, false

   number는 1,2,3,4,..

   string은 "a", "b", "c"

   undefined은 undefined

   null은 null

9. alert(true == 1) //true, true는 1과 정보의 의미가 같다고 해 true

   alert(true === 1)  //false , true와 1의 데이터 형식과 정보가 모두 일치해야지 true인데 그렇지 않아 false

 *이해가 정확하게 되지 않음. 다시 생각해볼것.

https://dorey.github.io/JavaScript-Equality-Table/ 

alert(NaN === NaN);  //flase , NaN은 계산할 수 없음을 의미(0/0). 

 

10. ! 는 주로 부정.

1!=2 //true

1!=1 //false

 

11. !==는 정확하게 같지 않다.

12. > , >=, <=

 

 

 


 

조건문(*매우중요, condition statement)

1. if(true) {

       alert('result : true );

} //true라고 출력. 만약에 사실이라면 조건문 출력.

 

if(false) {

 alert('result : true');

}  //아무것도 실행되지 않음. 만약에 false면 조건문 출력X. 

 

2. else 

if부분이 실행되면 else부분이 실행되지 않음. if(true) { alert (1); } else { alert(2); }

if부분이 실행되지 않으면 else부분이 실행됨. if(false) { alert (1); } else { alert(2); }

 

3. else if (if와 else와 다르게 여러개 올 수 있음)

if(false){

alert(1);

} else if(true){

alert(2);

} else if(true){

alert(3);

} else {

alert(4);

}

false이기 때문에 그 뒤에 오는건 출력되지 않고 else if부분이 true이기때문에 출력됨. 그 다음에도 else if, else가 오지만 앞에 것들이 출력이 안되었을 때 출력되는 것이기 때문에 앞에 출력된게 있어 출력되지 않음.

 

4. 응용(조건문+변수)

prompt('당신의 나이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받아낼 수 있음.

 

alert(prompt('당신의 나이는?')); //나이를 쓸 수 있는 창이 뜨며 써서 엔터를 치게 되면 그게 다시 경고창으로 뜨게 됨.

*이때 id=='egoing' 이라고 되어있는 부분에 ===로 바꿔도 동일하게 작용됨.

 

5. 조건문 안에 조건문을 넣을 수 있음.

* {} 괄호가 잘 열리고 닫혔는지 확인!!

 

 

 

 

 

 

 

 

 


연습하다 발견한 나의 오류.

 

* alert(''); 로 작성해야되는거 잊지말기. 

a = ' '; , b = ' '; 로 꼭 작성하고 숫자 중간에 ,를 쓰는건 안되는가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