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

JavaScript Day8(20210607) 함수, 배열

by rami_ 2021. 6. 7.

생활코딩(언어-자바스크립트)

1. 실행방법과 실습환경

2. 숫자와 문자

3. 변수

4. 주석

5. 줄바꿈과 여백

6. 비교

7. 조건문

8. 반복문

9. 함수

10. 배열

11. 객체

 

PoiemaWeb

자바스크립트5 자바스크립트의 기본문법

자바스크립트7 연산자

자바스크립트8 제어문

자바스크립트10 객체

 1. 객체란?

 2. 객체생성방법(객체 리터럴)

 3. 객체 프로퍼티 접근

자바스크립트 12 함수

 1. 함수정의(함수선언문/표현식)

 4. 매개변수(매개변수vs인수)

 5. 반환값

자바스크립트 27 string 래퍼 객체(1.string constructor 부분 제외)

자바스크립트 28 배열

 


1. 입력에 따라 출력이 다르게 나타남.

2. return 출력 

 function get_member1() {

  return 'egoing';

  return 'leezche';

}

alert(get_member());

를 실행할 경우 egoing만 실행됨. return의 값을 출력하고 나면 함수에서 빠져나오게 됨.

3.

function get_argument(arg){

return arg;

}

 

alert(get_argument(1));

alert(get_argument(2));

 

실행하면 1 이 arg로 들어가 1이 출력됨.(2도 똑같음).

이때 arg 는 매개변수 parameter

1과 2는 인자 argument(입력)

 

4. 자바스크립트는 함수의 언어라고 할정도로 중요.

 

배열 array

1.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서 통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

2. 배열을 적을 때는 [ ] 대괄호 사용. 

3. 하나의 변수안에 여러 데이터를 배열함.

4. 배열된 데이터 그 하나하나를 원소라고 하며, 고유한 번호를 갖게 됨(0 색인,index 부터 시작함). 

 var member = ['무', '래기', '작통']
 alert(member[0]);
 alert(member[2]);

무, 작통 출력.

5.연관된 정보를 한번에 다룰수 있게함.

6. 반복문과 결합.

7. 배열에 담긴 각 정보를 꺼내어 가공할 때 배열의 진가가 발휘됨.

8. 만약 변수의 값을 'yatong'이라고 지정하고 a.UpperCase(); /*내장함수(원래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함수)이때 꼭 U C는 대문자로 적어야함*/ 라고 하면 대문자로 출력됨.

9. .length(배열에 있는 값이 몇개인지)

10. 배열+반복문

function get_members(){

return ['egoing', 'k8805', 'sorialgi'];

}

var members = get_members();

document.write(members[0]);

document.write(members[1]);

document.write(members[2]); 를 배열과 반복문을 사용해 수정해보기.

이때 글자를 대문자로 바꾸고 줄바꿈을 할것.

 

 function get_members(){
    return['egoing', 'k8805', 'sorialgi'];
 }
 members = get_members();
 
 for(i = 0; i < members.length; i++){
    document.write(members[i].toUpperCase()+"<br />");
 }

 

11. 배열의 제어

배열에 추가하기. var li = ['a', 'b', 'c', 'd', 'e']; li.push('f');  

여러개의 데이터를 추가하고 싶을 때 li.concat(['f', 'g']);

뒤가 아닌 앞에 값을 추가하고 싶을 때 li.unshift('z'); //['z', 'a', 'b', 'c', 'd', 'e']

중간에 넣고 싶을때 li.splice(2 index, 0 howmany, B element); li.splice(2, 0, 'f'); //index가 2인 곳에 0(어떤것도 삭제하지 않고) 'f'를 넣어라. ['a', 'b', 'f', 'c', 'd', 'e']

만약 li.splice(2, 1, 'x', 'y'); 경우 index가 2인 곳에 1개의 원소를 지우고 'x', 'y'를 넣음. // ['a', 'b', 'x', 'y', 'd', 'e']

*참고 https://opentutorials.org/course/50/110

 

splice - 생활코딩

요약(Summary) 배열의 특정구간을 추출하거나, 특정구간에 특정 배열을 추가함 문법(Syntax) array.splice(index, howmany, element1, ...., elementN); 인자(Parameters) 인자명 데이터형 필수/옵션 설명 index number 필수

opentutorials.org

 

12. 배열 제거 shift li.shift(); //맨 처음에 있던 원소 제거.

정렬 li.sort();

반대로 정렬 li.reverse();

sort안에 함수를 직접설정해 배열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