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할당 연산자 = 하나만 사용함( var result = 1+2;)
복합할당 연산자 = 앞에 연산자 작성
+=, -=, *=, /=, %=, <<=, >>=, >>>=, &=, ^=, |=
var point = 7;
point += 3;
point에 7을 할당함.
7+3=10 10을 point에 할당함.
= 앞에 있는걸 계산후 할당.
해석/실행 순서
해석 : JS코드를 기계어로 바꾸는 것. Compile
엔진이 해석하고 실행한다.라고 함.
var result = 1+2+3;
먼저 왼쪽의 표현식 평가.
오른쪽의 표현식 평가. 이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평가함. 1+2 , 3+3
오른쪽 표현식의 평가결과(6)를 왼쪽의 표현식 평가결과에 할당.
산술연산자 +
+ 양쪽의 표현식을 평가.
평가결과를 연결함(한쪽이라도 숫자가 아니면 연결)
var two = "2";
var value = 1 + two;
log(vlaue); //12
log(typeof value); //string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단항연산자, 후치, 전치, 논리 NOT연산자, 유니코드, UTF (0) | 2021.09.02 |
|---|---|
| 숫자로 변환 (0) | 2021.08.26 |
| 연산자(Operator) (0) | 2021.08.16 |
| 데이터타입, Number, String, Undefined, Null, Boolean, Object (0) | 2021.08.15 |
| 정수, 실수, 숫자처리, 상수, 진수 (0) | 202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