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 개선을 위해 메타데이터를 넣고 schema.org를 넣었지만 아직 타겟 키워드 검색 시 웹사이트가 페이지가 5페이지 이내에 노출되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해서 schema.org 구조화 데이터로 seo를 개선하기로 했다.
구조화 데이터는 검색엔진이 웹페이지의 내용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코드이다. HTML에 보이지 않는 메타데이터를 추가해 검색엔진에게 "이 페이지는 무엇에 괂나 것이고,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알려준다.
구조화 데이터의 주요 강점은 Rich Snippets, Knowledge Graph, 음성 검색 최적화, 검색 순위 개선이다. Rich Snippets는 검색결과에 별점, 가격, 이미지 등 풍부한 정보를 표시하며, Knowledge Graph는 브랜드/회사 검색시 정보 패널 노출, 음성 검색 최적화는 google assistant, siri등의 답변 소스로 활용된다.
조직정보, 자주묻는질문, 서비스 이용 방법,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세정보를 구조화하여 schema.org에 추가했다.
실제로 구조화 데이터를 적용한 사이트들의 통계에 따르면:
- 클릭률(CTR) 30-40% 향상: Rich Snippets 덕분에 검색 결과가 더 눈에 띔
- 음성 검색 노출 증가: 직접 답변(Featured Snippet)으로 선택될 가능성 증가
- 브랜드 인지도 향상: Knowledge Graph를 통한 공식적인 정보 제공
- 롱테일 키워드 순위 개선: 검색엔진의 페이지 이해도 향상
이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배포해놓고 색인이 될 때까지 기다려봐야겠다.
참고자료 : https://schema.org/
Schema.org - Schema.org
Schema.org is a collaborative, community activity with a mission to create, maintain, and promote schemas for structured data on the Internet, on web pages, in email messages, and beyond. Schema.org vocabulary can be used with many different encodings, inc
schema.org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appearance/structured-data/intro-structured-data?hl=ko
구조화된 데이터 마크업의 작동 방식 소개 | Google 검색 센터 | Documentation | Google for Developers
Google에서는 구조화된 데이터 마크업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파악합니다. 이 가이드에서 구조화된 데이터의 작동 방식을 살펴보고, 형식을 검토하고, 사이트에서 콘텐츠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developers.google.com
SEO | Next.js
SEO SEO stands for Search Engine Optimization. The goal of SEO is to create a strategy that will increase your rankings position in search engine results. The higher the ranking, the more organic traffic to your site, which ultimately leads to more busines
nextjs.org
'tech epilog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xt.js 미들웨어 리디렉션과 Google 색인 문제 해결 (0) | 2025.10.13 |
|---|---|
| 우리도 구글 검색 1페이지에 나오고 싶다(1) (0) | 2025.09.29 |
| Google Ad manager에서 제공하는 URL 처리하기 (0) | 2025.09.02 |
| [회고]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북 스터디 (2) | 2025.08.26 |
| [회고] 자바스크립트 + 리액트 디자인 패턴 (1) | 2025.03.30 |